자신의 구글 블로그를 더 잘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3편(대형 포털 사이트별 sitemap과 RSS 등록 방법)

RSS(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 두 개의 풀네임으로 검색되는데 어떤 의미에서든 맞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RSS에 대한 위키백과의 설명을 먼저 읽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SS(Rich Site Summary)는 뉴스나 블로그 사이트에서 주로 사용되는 콘텐츠 표현 방식이다.

웹사이트 관리자는 RSS 형식으로 웹사이트 내용을 표시한다.

이 정보를 받는 사람은 다른 형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RSS 리더에는 웹 기반형과 설치형이 있다.

웹 기반형 리더는 간단한 계정 등록으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RSS가 등장하기 전에는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 해당 사이트를 직접 방문해야 했지만 RSS 관련 프로그램(혹은 서비스)을 이용해 자동 수집이 가능해졌기 때문에 사용자는 각각의 사이트 방문 없이 최신 정보만 골라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Wiki 백과사전에서…

쉽게 표현하면 스마트 폰 알람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네이버 우에브토우ー은프로그람을 사용하면서 좋아하는 웹툰에 마음에 드는 것을 표시하고, 그 웹툰이 업로드될 때 스마트 폰에 “관심 웹툰이 업로드된 “이라는 알람이 표시됩니다.

RSS도 비슷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관심 웹툰(관심 웹 사이트)스마트 폰(사용자)에서 보면 되죠.좋아하는 잡지 사이트에 RSS구독을 하고 두면” 새로운 기사가 나왔습니다”라는 알람 메시지를 보내어 준다고 보면 좋습니다.

RSS꼭 필요한 서비스?스마트 폰이 없었던 과거에는 최신 정보를 습득하는 방법이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① 관심 있는 웹 사이트에 수시로 접근하고 정보를 얻는 방법과 ② 제 메일 주소를 웹 사이트 회원 등록에 입력한 메일로 정보를 받는 방식(단, 해당 사이트가 개인 블로그처럼 회원 등록이 불가능한 경우는 사용이 어려움) 이러한 환경에서 RSS는 매우 유용한 서비스였습니다.

가만히 있어도 새로운 소식을 받고 원하는 정보라면 접속만 하면 다행이니까요.그러나 지금처럼 스마트 폰 시대에는 그 의미가 얇은 서비스입니다.

정보를 얻기 위해서 PC를 달지 않아도 되고, 스마트 폰으로 24시간 알람을 받을 수 있으므로 RSS는 이제 필요 없도록 보입니다.

(적어도 개인 유저에게)RSS의 진짜 사용자는 검색 엔진, 최대 수혜자는 웹 사이트 소유주인 RSS는 웹 크롤러와 함께 검색 엔진에 새로운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데 활용됩니다.

저의 구글 블로그가 왜 구글에서 검색되지 않는지 알아보면 무한 궤도 하나만 쓰기보다는 RSS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좋대요.상기 상황에 맞추어 보면 검색 엔진이 사용자가 되는 것입니다.

제 블로그에 새로운 글이 올라오면 RSS통지를 검색 엔진에 보내는 것입니다.

여기서 무한 궤도와 RSS의 차이가 좀 있는데, 무한 궤도는 검색 엔진이 주체가 되어 블로그에 접속- 새로운 페이지를 드래그 하는 역할을 합니다.

한편 RSS는 블로그가 주체가 되어 검색 엔진에 새 소식을 알리고 검색 엔진이 뉴스를 받자 데이터를 꺼냅니다.

결과적으로 블로그가 검색 엔진으로 자동 공유되어 남에게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무한 궤도인 RSS이며, 실제로 사용하는 주인이 최대 수혜자입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포털 사이트별 RSS등록 방법 1. Google Search Console(https://www.google.com/webmasters/)

Google Search Console에서 [크롤링] – – [Sitemaps] 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sitemap 추가/테스트 버튼을 누른 후 아래 2개를 입력합니다.

① ① sitemap.xml ② feeds/posts/default?alt=rss(이는 아래에서 계속 동일하게 사용되는 링크) 등록 후 몇 시간이 지나면(충분히 1일) 정상적으로 크롤되었다는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네이버 웹마스터툴(https://webmastertool.naver.com )

네이버는 rss와 sitemap 등록을 따로 하기로 되어 있습니다.

sitemap은 이전 게시물에서 다루었으므로 생략하고 [RSS 제출]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RSS 피드 URL을 동일하게 입력합니다.

(블로그주소+/feeds/posts/default?alt=rss)3. bing (https://www.bing.com/toolbox/webmaster?mkt=ko-kr) )

구글과 마찬가지로 Sitemaps 옵션에서 (블로그 주소+/feeds/posts/default?alt=rss)를 입력합니다.

4. 4. 次(https://register.search.daum.net/index.daum) )

다음이 가장 간단합니다.

단순히 신규 등록에 블로그 주소를 넣는 것만으로 끝납니다.

다음에 sitemap, RSS정보를 입력하지 않습니다.

마치면서 이처럼 등록했지만 100%자신의 블로그가 검색되고 나온다는 보증은 할 수 없습니다.

(각 포털 크롤러에 적힌 문구입니다)이전의 강의에서 들은 내용으로 검색 엔진의 최고봉인 구글은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기법을 풀어 놓았다고 하더군요.그 기법 안에는 사이트에 접속됐다고 하더라도 그다지 유용한 정보가 없으면 별로 머물지 않고 사용자는 사이트를 나오게 됩니다만, 이렇게 유저가 실제로 머문 시간 등 여러 요소를 복합적으로 판단하고 사이트의 유용성 평가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사이트의 영향이 없으면 자연스럽게 가치가 하락하면서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 노출 빈도도 자연스럽게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렇게 사이트를 등록할 뿐 아니라 실제로 좋은 콘텐츠를 착실히 올리고 관리해야 합니다.

끝.